『한ㆍ중ㆍ일 문헌 교류와 유통을 통해 본 지식의 영향력』은 지식의 사회사와 관련된 다수의 이론서를 바탕으로, 한ㆍ중ㆍ일 문헌 교류의 실제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이 점에서 이번 도서에서는 이론적인 면보다 사례 중심의 연구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사업단에서 지식의 영향력에 대한 귀납적 연구를 모색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제1부에서는 ‘근대 동아시아 번역 서학서’의 유통과 관련된 논문(허재영)과 ‘세설신어보’와 관련된 논문(노경희) 두 편을 수록하였으며, 제2부에서는 일본에서의 ‘수호전물’(홍성준)과 ‘당시 선집의 정전화 문제’(최석원)를 연구한 논문을 수록하였다. 제3부는 목록류 도서를 통해 본 근현대 일본의 한중 관계 연구(허재영)와 ‘점석재화보’(이성현)를 대상으로 한 매체 변화의 특성을 다룬 논문을 수록하였으며, 부록으로 연구 논문 작성에 활용된 근대 중국의 번역 서학서 두 종을 발췌ㆍ번역하여 수록하였다.
목차
제1부 문헌의 유통 그리고 지식의 공유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서학서 유통과
지식의 확장 과정에서 서양인의 역할_허재영
『세설신어보』의 조선과 에도 문단의 출판과 향유층 비교_노경희
제2부 한ㆍ중ㆍ일 문헌 유통의 양상과 지식 확산 사례
『수호전』과 『수호전물』의 일본문학사적 의의_홍성준
: ‘문학을 통한 지식의 확산’이라는 관점에서
당시선집(唐詩選集)의 유통과 정전화된 ‘당시(唐詩)’_최석원
제3부 지식 연구와 서적 분포 및 권력화
목록류 도서를 통해 본 근현대 일본의 한중 관계 연구_허재영
새로운 매체, 오래된 전통_이성현
: 『점석재화보(點石齋畵報)』의 거상(巨像) 이미지를 중심으로
[부록] 근대 한국에 영향을 준 중국 번역 서학서 발췌 번역
발췌 번역 해제_허재영
Ⅰ. 『화학감원(化學鑑原)』 발췌 번역
Ⅱ. 『박물신편(博物新編)』 발췌 번역
[1689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단국대학교 상경관 317호·527호·530호
TEL.031.8005.2667
FAX.031.8021.7244
MAIL.hkplus@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