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경남, 장지연의 『녀ᄌᆞ독본』·『일사유사(逸士遺事)』를 통해 본 근대 지식과 여성 인물 발굴의 의미, 2021.03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1.03.31
  • 조회수: 1288

논문제목 : 장지연의 『녀ᄌᆞ독본』·『일사유사(逸士遺事)』를 통해 본 근대 지식과 여성 인물 발굴의 의미 

  

저자 : 김경남(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어문론집85  

  

발행처 : 중앙어문학회 

  

주제어 : 근대 지식, 여성 인물, 남녀평등권, 장지연, 녀ᄌᆞ독본, 일사유사, 여자교육, modern knowledge, female character, equal rights of men and women, Jang Jiyeon, NYEOJADOKBON(女子讀本), ILSAYUSA(逸士遺事) 

   

<요약> 

 

이 논문은 장지연의 녀ᄌᆞ독본일사유사속의 인물을 통해 근대적 여성 인물의 발굴·보급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했다. 이를위해 근대적 여성관의 변화, 두 텍스트의 인물 유형과 분포, 여성 인물 발굴·보급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적 여성관은 근대 이전의 규범(閨範)이 완화되면서 남녀동등권개념이 도입되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때 등장한 남녀동등권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적 차원에서 남녀가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는 구체적인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채, 가정이나 사회(국가)에서 여성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또는 여성에게 어떤 역할을 부여해야 마땅한가라는 논의로 이어졌다.
둘째, 여자 교육에서 여성 인물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성 인물은 조선 초기부터 풍속 교화 차원에서 삼강행실류나 여범(女範) 등과 같은 교훈서에 빈번히 활용되었고, 조선 후기 이향견문록이나 호산외기등에서도여범 또는 후세에 전할 만한 여성 인물이 수록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여성관과는 달리 남녀평등권 개념이 도입된 이후 여자 교육에도 일정한 변화가 생겨났으며, 장지연의 녀ᄌᆞ독본일사유사의 인물 발굴은 이와 같은 시대적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셋째, 녀ᄌᆞ독본의 여성 인물은 상권의 경우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 위인을대상으로 하였으나, 그들의 행적은 대부분 현모양처’, ‘부덕을 지킨 위인들이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하권의 중국과 서양 여성 인물 가운데 여장부로서 활동했거나 국민 의식과 평등사상을 실천하고자 한 인물들이 포함된 것은 근대적여성관에 부합하는 인물 소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일제 강점기집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사유사는 조선의 인물만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적 여성관을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