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한성구, 근대적 "리(理)" 관념의 형성 - 천리(天理)에서 공리(公理)로 -

  • 작성자: 관리자 (admin)
  • 작성일: 2021.01.22
  • 조회수: 1364

논문제목 : 근대적 "()" 관념의 형성 - 천리(天理)에서 공리(公理)-

 

저자 : 한성구(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동양철학연구104

 

발행처 : 동양철학연구회

 

주제어 : , 천리, 공리, 니시 아마네, 왕궈웨이, 석리(釋理

 

<요약>

"()"는 동양 고대 철학의 중요한 범주이자 개념이다. 그렇지만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과정 가운데 서구의 개념들에 대응하면서 본래 의미에 변화가 발생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 시기 서양 문헌을 번역하고 개념을 창출하는 데 큰 공헌을 한 메이지(明治) 일본의 계몽학자 니시 아마네(西周)"" 범주 해석 양상과 중국의 근대 학자 왕궈웨이(王國維)가 쓴 석리(釋理)의 내용을 중심으로 "" 범주와 개념이 근대적으로 전환되는 하나의 일면을 추적해보았다. 니시와 왕궈웨이는 전통 리 개념의 폐해를 절감함과 동시에 당시 발흥하던 실증주의 사조나 서양 논리학의 전래, 학문 분야의 전문화,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의 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공통적으로 전통적 리 관념에서 윤리적·형이상학적 의미를 배제하려 하였다. 이런 입장은 전통 "" 관념이 "천리(天理)"에서 "공리(公理)"로 전환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 전통 관념의 근대적 전환 및 근대적 관념의 형성 과정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