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 『사민필지』의 간행·漢譯과 근대 지식의 변용
저자 : 최보영(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역사와세계』 제57집
발행처 : 효원사학회
주제어 : 『사민필지』, 육영공원, 지식의 창출, 지식의 변용
<요약>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가 1890년 간행한 『사민필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교과서였던 것이지 한국의 지배계급에게 필요한 권력화된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가 아니었다. 하지만 학부의 보수적 지배자들은 『사민필지』를 통해 언어·지식 권력을 공고히 하는 한역본 『士民必知』를 간행하였다. 한역본이 국가에 의한 교육기관에 본격적으로 유통·활용되면서 근대 지식은 변용·정착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영향을 받은 개정본 및 3판본 『사민필지』 역시 개념을 수정하고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근대 교과서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사민필지』는 단순한 서구의 모방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을 근대적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변용하는 과정에서 탄생되었던 것이다. 특히 근대적 지식의 창출과 변용 그리고 사회화 과정이 『사민필지』 초판본과 한역본 그리고 개정본 및 3판본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Saminpilji』 published by Homer B. Hulbert in 1890 was not a tool for providing the empowered knowledge necessary to the ruling class of Korea, but a textbook that pursued the universal value of mankind. However, the conservative rulers of college published a Chinese Character version 『Saminpilji』 that could solidify the language/knowledge power. As the Chinese Character version was fully distributed and utilized in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modern knowledge started getting transformed/settled, and the revised-version and third edition 『Saminpilji』 influenced by it also modified the concept and showed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condition of the time. Eventually, 『Saminpilji』 that could be the beginning of modern textbooks, was not a simple imitation of the West, but bor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and transforming our tradition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reality. Especially, this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transformation and socialization is fully shown in the continuity of the first edition, Chinese Character version, and revised-version & third edition of 『Saminpilji』.
[1689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단국대학교 상경관 317호·527호·530호
TEL.031.8005.2667
FAX.031.8021.7244
MAIL.hkplus@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