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정희,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의 해석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9.08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9.08.26
  • 조회수: 786

 

논문제목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의 해석을 중심으로 -

 

저자 : 김정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일본어문학」 86

 

발행처 :일본어문학회

 

주제어 : 拘幽操, 君臣?係, 革命, 社?構造, 天皇 (구유조, 군신관계, 혁명, 사회구조, 천황)

 

<요약>

일본 근세시대에는 주자학이 막부정치를 지탱하는 정치이념으로서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당연히 주자학과 관련된 많은 서적들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유입되었고, 그로 인해 일본에서도 유학을 연구

하는 전문가들이 탄생하였다. 주자학이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정치이념이었던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각 국에 수용된 주자학이 중국의 주자학과 동일하지는 않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래 지식은 생산되고 전파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처음과 다른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일본에 수용된 주자학도 그러한 예로,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의 중추적 사상이자 일본 근세시대의 정치이념이었던 주자학이 일본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 1618-1682)의 군신관계에 대한 논의를 예로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유교라는 지식이 동아시아로 확산되면서 어떻게 다르게 해석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 중 하나라고 하겠다. 야마자키 안사이는 내셔널리즘의 색채가 짙은 수가신도(垂加神道)의 창시자이자, 그의 문하생들을 통해 이어져 간 주자학의 일파 기몬가쿠(崎門?)를 연 인물이다. 안사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그의 사상과 주자학의 차이, 안사이에게 미친 퇴계 이황의 영향, 수가신도의 성격, 도쿠가와 막부(?川幕府)와의 관계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고는 안사이의 주자학에 대한 해석이 주자 의설과 어떻게 다른지를 당(唐)나라의 문인인 한유(韓愈, 자(字)는 퇴지(退之))의 시(詩) ?구유조(拘幽操)?와 탕무혁명론(湯武革命論)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한시와 혁명을 둘러싼 군신관계에 대해서 양자의 인식에 거리가 있는 이유를 당시 일본의 사회적 특징과 안사이의 사상을 통해서 구명해 보고자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