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한성구, 전통 ‘성인’ 관념의 근대적 변화에 관한 일고찰, 2024.06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4.07.09
  • 조회수: 160

논문제목 : 전통 ‘성인’ 관념의 근대적 변화에 관한 일고찰

저자 한성구(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중국학논총

발행처 한국중국문화학회

주제어 성인성인관영웅호걸신민니체초인진화론

  

<요약>

중국 ‘성인관’은 중국 철학과 문화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중국인들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인간 모델에 대한 관점을 나타낸다. 중국 고대 철학의 관점에서 ‘성인’은 도덕적으로 완전하고 지혜로운 인간이자 전통의 충실한 계승자로 여겨졌다. 그렇지만 근대로 오면서 전통 성인관에 변화가 생긴다. ‘성인’ 역시 욕망을 가진 사람으로 완전무결하지 않으며, 근대의 이상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것은 신체적 역량과 과학적 지식, 자유·평등의 가치에 대한 존중과 추구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성인’이라는 개념이 가진 전통 관념의 제한으로 이 용어 대신 ‘영웅’, ‘호걸’, ‘신민’ 등의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으며, 니체 철학의 영향을 받은 ‘초인(超人)’과 같은 개념도 전통 성인상과 비교하는 가운데 대안으로 소개되었다. 이 글에서는 선진시기 형성된 전통 ‘성인관’을 통사적으로 일람하고, 아울러 그것이 근대 이후 격변기를 거치면서 어떤 변천을 겪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China's "sage view"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s of Chinese philosophy and culture and represents the ideal personality model that Chinese people aspire to. From the perspective of ancient Chinese philosophy, "saints" are considered morally complete, intelligent, and faithful inheritors of tradition. In modern times, however, the traditional view of saints has changed. It is emphasized that "saints" are also people with desires, not perfect, and those who think close to them should have respect for and pursuit of physical strength, scientific knowledge, freedom, and equal valu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of the concept of "saint," new concepts such as "hero," and "Xinmin" were introduced instead of this term, and concepts such as "superhuman," influenced by Nietzsche's philosophy, were introduced as alternatives.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traditional “sage view” formed in the pre-Qin period and examines the changes of the period of upheaval after modern times.

 

中国‘圣人观’是中国哲学文化的重要概念之一,代表了中国人向往的理想人格模式的观点。 在中国古代哲学观点上,‘圣人’被认为是道德上完整、有智慧的人,而且对传统的忠实传承人。但是到了近代,传统圣人观发生了变化。 强调‘圣人’也是有欲望的人,不是十全十美的,近代理想的人应该具备的是对身体力量、科学知识、自由、平等价值的尊重和追求。 由于‘圣人’概念所具有的传统观念的限制,代替该用语出现了‘英雄’、‘豪杰’、‘新民’等新概念, 受到尼采哲学影响的‘超人’等概念也被介绍为与传统圣人像相比的替代方案。 本文通史地一览了先秦时期形成的传统‘圣人观’, 并考察了近代以后经历剧变期的变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