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기타

일제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2019
  • 경진출판
  • 허재영 · 강민정 · 윤금선 · 김슬옹 · 김정애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 총서 안내

 

 

학문의 발달, 곧 지식과 이론의 발달은 한 사회와 역사의 발달을 의미한다. 특히 전근대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목표로 하는 학문과는 달리, 지식 산출을 목표로 하는 근대의 학문 발달은 한 사회의 발전뿐만 아니라 역사적 진보를 기약하는 전제가 된다. 이 점에서 최근 한국의 근대 학문 형성과 발전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이 총서는 2014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하는 한국학 총서 개발 사업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의 결과물이다. 연구를 처음 시작할 때, 연구진은 근현대 학문사를 포괄할 수 있는 지식 기반 데이터 구축과 근현대 분과 학문의 발전 과정을 기술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목표를 세우고 출발하였다. 그 과정에서 근현대 한국 학문사의 주요 정신적 기반이 계몽에 있었음을 주목하였다.

지난 3년간의 연구 과정에서 연구진은 수많은 자료와 씨름하였다. 출발 당시 1880년대의 자료를 기점으로 1945년까지 각종 신문과 잡지, 교과서류의 단행본 등을 수집하고,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가운데 근대 계몽기 잡지의 경우 학문 분야별 자료를 분류하여 9종의 자료집을 발간하기도 했다. 자료집은 학회보(잡지)에 수록된 논설?논문 등을 학문 분야별로 나누어 8종으로 출판하고, 9는 분류 기준과 결과를 별도로 편집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월례발표회를 가졌으며, 연구진 각자 개별 논문을 쓰기도 하였다. 그러면서도 근현대 학문 형성과 발전, 계몽운동의 전개 과정 등과 관련된 자료가 수없이 많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총서는 제1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 발전’, 2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3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4학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5계몽의 이데올로기와 대상’, 6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7계몽의 수단: 민족어와 국어로 구성되었다. 각 권마다 3~5인의 연구원이 분담하여 집필을 맡았으며, 이를 통해 근현대 한국 학문의 형성과 발전, 계몽운동의 전개 과정과 가치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