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기타

학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2019
  • 경진출판
  • 허재영 · 고경민 · 김슬옹 · 김경남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 총서 안내

 

 

학문의 발달곧 지식과 이론의 발달은 한 사회와 역사의 발달을 의미한다특히 전근대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목표로 하는 학문과는 달리지식 산출을 목표로 하는 근대의 학문 발달은 한 사회의 발전뿐만 아니라 역사적 진보를 기약하는 전제가 된다이 점에서 최근 한국의 근대 학문 형성과 발전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이 총서는 2014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하는 한국학 총서 개발 사업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의 결과물이다연구를 처음 시작할 때연구진은 근현대 학문사를 포괄할 수 있는 지식 기반 데이터 구축과 근현대 분과 학문의 발전 과정을 기술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목표를 세우고 출발하였다그 과정에서 근현대 한국 학문사의 주요 정신적 기반이 계몽에 있었음을 주목하였다.

지난 3년간의 연구 과정에서 연구진은 수많은 자료와 씨름하였다출발 당시 1880년대의 자료를 기점으로 1945년까지 각종 신문과 잡지교과서류의 단행본 등을 수집하고이를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그 가운데 근대 계몽기 잡지의 경우 학문 분야별 자료를 분류하여 9종의 자료집을 발간하기도 했다자료집은 학회보(잡지)에 수록된 논설?논문 등을 학문 분야별로 나누어 8종으로 출판하고9는 분류 기준과 결과를 별도로 편집하였다연구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월례발표회를 가졌으며연구진 각자 개별 논문을 쓰기도 하였다그러면서도 근현대 학문 형성과 발전계몽운동의 전개 과정 등과 관련된 자료가 수없이 많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총서는 제1권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 발전’, 2권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3권 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4권 학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5권 계몽의 이데올로기와 대상’, 6권 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7권 계몽의 수단민족어와 국어로 구성되었다각 권마다 3~5인의 연구원이 분담하여 집필을 맡았으며이를 통해 근현대 한국 학문의 형성과 발전계몽운동의 전개 과정과 가치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책소개 ]

 

 

 

 

제국주의의 침탈 속에 학술사상의 위축, 계몽의 주체와 운동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

 

근대 계몽기 학술 담론은 1880년대 이후 1910년 애국계몽시대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변화를 보여 왔다. 개항 직후 출현한 문명?진보론은 애국계몽시대 충군애국론으로 변화해 갔으며, ‘국민’, ‘민족’, ‘국가개념이 확립되면서 충군의 개념보다 애국(愛國)’이 강조되는 방향을 전개되었다. 그 과정에서 국리민복(國利民福)의 학술사상이 형성되었고, 지식 체계로서 학문사상, 곧 과학주의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문명?진보론’, ‘사회구조론과 생존경쟁론’, ‘충군애국론’, ‘국가주의’, ‘민족주의등의 근대사상이 형성되었으며, 시대 환경에 따라 이러한 이데올로기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국권 상실은 문명과 진화’, ‘국가 개념’, ‘민족의 의미등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제국주의의 침탈 속에 학술사상의 위축, 계몽의 주체와 운동 방식에 큰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문명?진보론과 진화론의 수용 과정을 좀 더 면밀히 고찰하고 있다. 문명?진보사상은 개화사상의 핵심을 이룬다. 이 사상은 점차 사회진화론과 접맥하며, ‘적자생존’, ‘우승열패의 논리 아래 국가의 위기에 대응하는 이데올로기의 하나가 되었지만,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서는 제국주의의 침탈을 긍정하는 이데올로기로 변화되기도 하였다.

3장에서는 근대 계몽기의 애국계몽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애국사상은 근대 계몽기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대 이전의 애국사상은 국가군주의 등식 아래 충군(忠君)’의 개념이 지배적이었다. 이 경향은 갑오개혁 이전까지도 유효한 사유체계로 작용되었는데, 민권의식이 성장하면서 애국의 개념 속에 입헌이나 국민이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 점에서 근대 계몽기의 애국사상은 국가, 국민, 민족담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며, 일제 강점기에는 이러한 개념어들이 달리 해석되는 경향도 나타난다.

4장에서는 식민 시대의 민족 담론의 실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강점기의 민족 담론이 활성화된 시점은 1920년대 이른바 문화정치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 민족 담론은 국권 상실 직후의 동양주의’, ‘동아주의등과 같은 일제화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제한적으로 전통과 역사, 국어를 보존하려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점에서 일제 강점기의 민족’, ‘문화개념이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식민 시대 민족 담론을 통해 전통과 민족 문화에 대한 재해석, 국토 의식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민족의 의미를 재정립해 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전통에 대한 인식과 국학 연구, 고전 재해석, 국토사상 등이 갖는 의미를 규명한다.

 

 

 

 

[ 목차 ]

 

머리말

 

1장 한국 근현대 계몽사상의 특징 <허재영>

1. 근현대 시대 상황과 계몽사상

2. 한국 근대의 계몽 담론

3. 학술 계몽 담론의 변화

 

2장 문명 진보론의 탄생과 진화론 <허재영>

1. 문명 진보론의 탄생

2. 문명과 개화를 바라보는 관점

3. 진화론의 수용과 영향

4. 문명?진화론에 대한 대응 방식

 

3장 충군애국과 국가?민족론 <고경민>

1. 전통적 국가 개념과 근대 국가

2. 충군애국과 민족 개념의 형성

3. 근대 계몽기 국가민족담론의 한계

 

4장 식민 시대의 민족 담론 <김슬옹>

1. 식민 정책과 민족 개념의 변화

2. 일제 식민정책 하의 민족 담론

3. 1920년대 사상의 조류

4. 국학(國學)과 계몽운동

 

5장 식민 시대 민족의 재발견 <김경남>

1. ‘자기와 계몽주의

2. 전통과 민족 문화

3. 민족 문화의 귀착점으로서의 고전 부흥

4. 일제 강점기 민족 재발견의 의미

 

참고문헌

 

 

 

 

 

[ 지은이 ]

 

허재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 일본연구소장. HK+ 사업 책임자.
일제 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고경민: 건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새로운 국어사 연구 방법론(공동)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김슬옹: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사.
한글의 탄생과 역사, 조선시대 훈민정음 발달사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김경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시대의 창: 근대 기행 담론과 기행문의 발전 과정 연구, 실용작문법(엮음)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