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기타

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2019
  • 경진출판
  • 허재영 · 김혜련 · 윤금선 · 서민정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 총서 안내

 

 

학문의 발달곧 지식과 이론의 발달은 한 사회와 역사의 발달을 의미한다특히 전근대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목표로 하는 학문과는 달리지식 산출을 목표로 하는 근대의 학문 발달은 한 사회의 발전뿐만 아니라 역사적 진보를 기약하는 전제가 된다이 점에서 최근 한국의 근대 학문 형성과 발전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이 총서는 2014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하는 한국학 총서 개발 사업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의 가치의 결과물이다연구를 처음 시작할 때연구진은 근현대 학문사를 포괄할 수 있는 지식 기반 데이터 구축과 근현대 분과 학문의 발전 과정을 기술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목표를 세우고 출발하였다그 과정에서 근현대 한국 학문사의 주요 정신적 기반이 계몽에 있었음을 주목하였다.

지난 3년간의 연구 과정에서 연구진은 수많은 자료와 씨름하였다출발 당시 1880년대의 자료를 기점으로 1945년까지 각종 신문과 잡지교과서류의 단행본 등을 수집하고이를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그 가운데 근대 계몽기 잡지의 경우 학문 분야별 자료를 분류하여 9종의 자료집을 발간하기도 했다자료집은 학회보(잡지)에 수록된 논설?논문 등을 학문 분야별로 나누어 8종으로 출판하고9는 분류 기준과 결과를 별도로 편집하였다연구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월례발표회를 가졌으며연구진 각자 개별 논문을 쓰기도 하였다그러면서도 근현대 학문 형성과 발전계몽운동의 전개 과정 등과 관련된 자료가 수없이 많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총서는 제1권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 발전’, 2권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3권 계몽의 주체로서 근대 지식인과 유학생’, 4권 학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5권 계몽의 이데올로기와 대상’, 6권 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7권 계몽의 수단민족어와 국어로 구성되었다각 권마다 3~5인의 연구원이 분담하여 집필을 맡았으며이를 통해 근현대 한국 학문의 형성과 발전계몽운동의 전개 과정과 가치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책소개 ]

 

 

 

 

 

계몽 운동의 주체가 누구이며,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근대 지식 형성 과정에서 국가에 대한 인식, ‘인민또는 국민에 대한 자각이 이루어진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당시의 지식인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규명하는 문제는 계몽 운동의 주체가 누구인지,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일제 강점기의 유학생 실태와 계몽 담론을 살피는 일은 한국 계몽 운동의 주체와 의미,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장에서는 이른바 개화 지식인과 보수적인 지식인의 정신세계를 살피는 데 중점을 둘 것이며, 성리학적 전통이 개신 유학파의 애국계몽론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근대 이전의 지식과 계몽 정신의 성격을 바탕으로 제2장에서는 근대 지식인을 유형화하고, 개항 직후 형성된 유학생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3장에서는 근대 계몽기의 유학생 관련 담론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해외 유학생 역사는 관비 유학생 파견 이전(1880~1894)’, ‘관비 유학생 시대(1895~1905)’, ‘국권 침탈기의 유학생 시대(1905~1910)’, ‘국권 상실기의 유학생 시대(1910~1945)’로 나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각 시기별 유학생 담론의 성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하여 제3장에서는 근대 계몽기(1880~1910)의 유학생 역사와 유학생 담론을 기술하고 있다.

4장에서는 근대 계몽기 유학생 단체와 계몽 활동을 좀 더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유학 지역에 따른 특성, 유학생들의 학문 활동, 계몽 활동, 사회 활동을 좀 더 자세히 살핌으로써, 계몽시대를 이끌어 간 주체로서 유학생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국권 상실기 유학생 실태와 유학 담론의 변화, 그 의미와 한계 등을 검토학고 있다. 식민 통치하의 유학생은 대부분 일본으로 간 유학생들이지만, 전시대에 비해 다양한 경로로 구미에 유학한 학생들이 늘어났다. 구미 유학생 가운데 상당수는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들과 재일 유학생 사이에는 계몽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목차 ]

 

머리말

 

1장 근대 지식과 계몽정신 <허재영>

1. 근대 이전의 지식인

2. 지식 개념의 변화와 근대 지식인

3. 근대 지식과 계몽의 관계

4. 결론

 

2장 근대의 지식인 유형과 유학 담론의 형성 <허재영>

1. 근대 계몽기 지식인의 사회관

2. 변통(變通)과 혁정(革政)

3. 근대의 유학생 담론 형성과 한국적 계몽사상

 

3장 근대 계몽기 유학생 역사 <김혜련>

1. 유학(留學)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호명

2. 근대적 학제 도입 이전의 유학생 시대(1880~1894)

3. 학제 도입과 관비 유학생 시대(1895~1905)

4. 통감시대의 유학생

 

4장 근대 계몽기 유학생의 성격과 계몽 활동 <윤금선>

1. 각 지역 유학생의 성격

2. 유학생 단체의 계몽 활동

3. 근대 계몽기 유학생 활동과 그 의의

 

5장 일제 강점기의 유학 담론 변화 <서민정>

1. 일제 강점기 유학과 그 의미

2. 재일 조선 유학생의 계몽 담론과 실천

3. 미국과 유럽 지역의 유학생

4. 유학생과 계몽담론

 

참고문헌

 

 

 

 

[ 지은이 ]

 

허재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부교수. 일본연구소장. HK+ 사업 책임자.
일제 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김혜련: 성신여자대학교 조교수.
일제 강점기 조선어과 교과서와 조선인,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공동) 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윤금선: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조교수.
경성의 劇場漫談, 우리 책읽기의 역사(1~2), 그림연극에서 뮤지컬 대본까지, 우리말 우리글 디아스포라의 언어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서민정: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근대 매체에 실린 언어지식, 현대 사회와 인문학적 성찰외 다수의 논저가 있음.

 

 

TOP